운영체제 기본/네트워크 4

데이터가 전달되는 원리(패킷이 만들어지는 원리)

데이터란? 우리가 일상에서 보내는 데이터란 웹을 돌아다니면서 발생하는게 대표적 물리적으로 전달하기 이전에 일정한 양식을 통해서 특정 형식으로 만든 후 전달한다 예를들어 택배 회사가 김치를 전달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포장을 해서 전달 하는것과 비슷하다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내저야한다. 그래서 프로토콜이라는 규칙을 통해서 안전하게 포장 후 보낸다 반대로 받는 쪽에서도 정확하게 해석, 개봉하는과정도 필요하다. 그럼으로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자!! ++ 대표적인 포장방법들 OSI통신모델 TCP/IP 송장 내가 보내는 데이터에 송장과 같은 정보를 계속 붙여서 보낸다 = 프로토콜 왜? 정확하고 손실이 없고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예)인켑슐네이션 = 포장 방법 = 택배 보낼때 포장하는 것 =포장방법을 이해하는것이 네트..

다수가 공유하는 회선

☎️ 과거의 아날로그 전화는 어떻게 연결되었을까? 과거에는 전화회선 하나를 내가 독점한여 다른 곳으로 나의 데이터를 다른곳으로 전달하였다. == 회선교환방식 내가 전화국에 연결을 하여 원하는 곳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싶다고 하면 전화국에서 다른쪽으로 전화회선을 연결해주었다. 그 이후에 전화 교환기가 개발이 되어 교환원의 도움 없이도 번호를 통하여 원하는 곳으로 연결이 가능해졌다. 한계 : 전화국의 회선을 무한적으로 늘릴 수없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예) 예전에 피자집의 할인행사에 의하여 전화국이 마비가 온적이있었다. 현재의 인터넷은 무엇인가? 과거의 문제점을 계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였다.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회선의 물리적인 량을 늘리지 못하였다. 그래서 현재는 하나의 전화가 전화회선 하나를..

네트워크란?(개요)

데이터를 한 지점에서 다른지점으로 이동 때 시킬때 필요한 것 데이터의 전달!! 물리적 연결이 필요하다, 현재는 바다에 광케이블을 연결해서 각국을 연결함 집에서는 공유기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사용 데이터가 전달된디->전기적 신호가 전달된다->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달한다.->전기적신호를 전달한다. + 데이터를 받는부분 포트(Port) 포트가 네트워크랑 연결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