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기본 18

분산처리 시스템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중앙의 컴퓨터 보다 많은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 개발이유 자원공유 연산속도 향상 - 고가의 컴1대보다 저렴한컴 여러개가 빠르다 신뢰성 - 일부 노드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노드가 수행 통신 - 통신을 할 수 있게하다 ->요즘은 의미가 없음 다운사이지? 고가의 컴1대x 저렴한컴 여러개o 형태 컴퓨터간의 물리적인 연결 형태에 따른 구분 기본비용 - 노드들을 연결하는데 드는 비용 통신비용 - 메시지를 전달 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비용 신뢰성 - 하나 고장 나더라도 다른 노드들이 계속 통신 할 수 있는지의 여부 구분기준 : 네트워크 위상에 따른 구분 완전 연결 구조 기본비용 - 노드숫자의 제곱에 비례 - 매우 비쌈 (n*(n-1))/2 통신비용 - 매우낮음 -> 많이 깔려져 ..

운영체제 기본 2021.06.07

다중처리 시스템os

특수한 시스템을 위한 os cpu를 여러개 두어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구성됨 가용성 높은 ->여러개를 쓸 수 있으니깐 신뢰성 높음 -> cpu한개가 고장나도 다른것으로 할 수 있으니깐 다중처리 시스템 구조 느슨한 구조 - 각 프로세서들이 독립적으로 운영됨 별도의 메모리를 가짐 통신을 통해서 메세지를 전달 기법 사용 밀착된 구조 - 하나의 운영체제가 시스템 전체 자원을 관리함 모든 메모리 공유 메모리 접근 경쟁 해결 필요 멀티 시스템의 분류방법들 flynn의 분류 제어장치(+-)와 처리장치(명령어 수행) 명령어 흐름(+-*/)과 자료흐름(1234)의 개수를 기준으로 다중처리 시스템을 분류 SLSD 한번에 한개씩의 명령어와 하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 사실 멀티 시스템이 ..

운영체제 기본 2021.06.07

정보 보호 및 보안

운영체제는 기본적으로 보안이 됨 보호 : 자원에 대하여 프로그램, 프로세스, 사용자가 접근을 제어하는 기법 보안 : 결함 없이 보전 된다는 일종의 신뢰도 보안은 보호의 개념보다 광범위함 보호 영역 하드웨어 자원 소프트웨어 자원 프로세스와 자원 프로세스들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자원만 접근 가능 자신의 일을 완료하기 위하여 현재 필요로 하는 자원만 접근 가능 접근 권한 어떤 프로세스가 자원을 이미 정해진 방법 에따라 접근 할 수 있는 능력 접근 권한 표현 방법 의 순서쌍으로 구성함 예) 보호영역 유닉스에서는 Domain은 사용자를 의미하며, 사용자 프로세스는 동일한 접근 권한을 가짐 접근 제어 목적 자원등에 대하여 허가 되지 않은 접근을 방어하기 위함 -> 사용,노출,수정,파괴 방지 접근제어 비밀성, 무결성..

운영체제 기본 2021.06.07

교착상태

프로세스들이 공유자원에 들어올 순서 정하기 교착상태 : 아무리 기다려도 해결불가한 상태 효율을 급격히 떨어트림 해결 :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결 반대편 사람유무 확인->한쪽에 우선권을 줌 하지만 효율성에 문제가 생김->기아상태:한쪽이 무작정 기다림 자원 아용순서 요청 -> 사용 -> 해제 환형대기 -> 자원이 2개여야 실행가능한데 둘다 하나씩 들고 있음->교착상태 발생 무한 연기 : 교착상태와 유사하나, 교착상태는 아님 스케줄링이 끝없이 연기될 가능성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세스가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에이질 기법으로 해결 오래기다릴수록 우선순위를 높임 해결방안 예방 : 발생하지 않도록 회피 : 미리 체크 탐지 : 할당하고 탐지 회복 : 탐지하고 해결 자원 할당 그래프 프로세스 = P 자원 = R 자원요청 ..

운영체제 기본 2021.06.07

프로세스 간 동기화 및 통신

6장 프로세스 간 동기화 및 통신 더 깊은 내용 두개이상의 일을 하나의 프로세스가 수행할때 어케 하는가 병행 프로세스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동시에 수행됨 협력하여 하나의 기능을 수행 협력시 동기화 또는 통신이 필요함 병행 프로세스 처리는 제한된 자원을 공유하기 위하여 상호작용이 필요함 -> 누가 먼저 사용할것인지 상호작용:프로세스는 순서에 맞게 실행되도록 동기화되어야함 상호작용하는 프로세스들을 동기화 하지 않으면? 1.교착상태문제, 2.임계구역문제, 3.결과예측 불가 등이 발생 할 수 있음 반드시 해결해야할 내용 공유자원은 상호 배타적인 사용을 보장해야함,동기화 문제 해결 -> 한번에 같이 할수없음 항상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함 -> 순서만 다른것 교착상태 해결 -> 둘다 수행 못하지 않게 통신..

운영체제 기본 2021.06.07

디스크 스케줄링과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 :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파일에 저장 현재는 디스크 중심으로 파일시스템 처리 운영체제 디스크나 ROM등 모든것을 관리 플래터 : 동그란 판-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다.+ 앞뒤로 저장됨 액츄에이터 암 : 움직이는 부분 +헤드 : 데이터를 읽고 쓰는 부분 :판마다 있고 위아래로 왔다갔다함 모터 : 돈다 전원 : 말그래도 전원 데이터 커넥터 : 읽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린다. 플래터 : 동그란 판 - 데이터가 저장되어있음 섹터 : 디스크에서 부채꼴 모양 일반적으로 512byte(트랙센터:전페섹터와 트랙의 교차점으로 둘러싸인 구역, 입출력의 기본단위) 트랙 : 중심축에 대한 동심원으로 나누어진 것 실린더 : 헤더가 한번에 판독/기록할 수 있는 원통형의 트랙의 모임 동일한 인덱스 번호를 가진 트랙의 ..

운영체제 기본 2021.04.30

데이터가 전달되는 원리(패킷이 만들어지는 원리)

데이터란? 우리가 일상에서 보내는 데이터란 웹을 돌아다니면서 발생하는게 대표적 물리적으로 전달하기 이전에 일정한 양식을 통해서 특정 형식으로 만든 후 전달한다 예를들어 택배 회사가 김치를 전달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포장을 해서 전달 하는것과 비슷하다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내저야한다. 그래서 프로토콜이라는 규칙을 통해서 안전하게 포장 후 보낸다 반대로 받는 쪽에서도 정확하게 해석, 개봉하는과정도 필요하다. 그럼으로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자!! ++ 대표적인 포장방법들 OSI통신모델 TCP/IP 송장 내가 보내는 데이터에 송장과 같은 정보를 계속 붙여서 보낸다 = 프로토콜 왜? 정확하고 손실이 없고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예)인켑슐네이션 = 포장 방법 = 택배 보낼때 포장하는 것 =포장방법을 이해하는것이 네트..

다수가 공유하는 회선

☎️ 과거의 아날로그 전화는 어떻게 연결되었을까? 과거에는 전화회선 하나를 내가 독점한여 다른 곳으로 나의 데이터를 다른곳으로 전달하였다. == 회선교환방식 내가 전화국에 연결을 하여 원하는 곳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싶다고 하면 전화국에서 다른쪽으로 전화회선을 연결해주었다. 그 이후에 전화 교환기가 개발이 되어 교환원의 도움 없이도 번호를 통하여 원하는 곳으로 연결이 가능해졌다. 한계 : 전화국의 회선을 무한적으로 늘릴 수없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예) 예전에 피자집의 할인행사에 의하여 전화국이 마비가 온적이있었다. 현재의 인터넷은 무엇인가? 과거의 문제점을 계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였다.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회선의 물리적인 량을 늘리지 못하였다. 그래서 현재는 하나의 전화가 전화회선 하나를..

네트워크란?(개요)

데이터를 한 지점에서 다른지점으로 이동 때 시킬때 필요한 것 데이터의 전달!! 물리적 연결이 필요하다, 현재는 바다에 광케이블을 연결해서 각국을 연결함 집에서는 공유기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사용 데이터가 전달된디->전기적 신호가 전달된다->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달한다.->전기적신호를 전달한다. + 데이터를 받는부분 포트(Port) 포트가 네트워크랑 연결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