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란?
우리가 일상에서 보내는 데이터란 웹을 돌아다니면서 발생하는게 대표적
물리적으로 전달하기 이전에 일정한 양식을 통해서 특정 형식으로 만든 후 전달한다
예를들어 택배 회사가 김치를 전달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포장을 해서 전달 하는것과 비슷하다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내저야한다. 그래서 프로토콜이라는 규칙을 통해서 안전하게 포장 후 보낸다
반대로 받는 쪽에서도 정확하게 해석, 개봉하는과정도 필요하다.
그럼으로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자!!
++
대표적인 포장방법들
OSI통신모델
TCP/IP
송장
내가 보내는 데이터에 송장과 같은 정보를 계속 붙여서 보낸다 = 프로토콜
왜? 정확하고 손실이 없고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예)인켑슐네이션 = 포장 방법 = 택배 보낼때 포장하는 것 =포장방법을 이해하는것이 네트워크의 이해
포장하는 과정 프로토콜
택배를 보낼때 송잘리하는 헤더를 특정방법(인캡슐네이션)을 통해서 보낸다. 이것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데이터를 보낼때 http라는 헤더을 붙여서 보낸다.
헤더 = 붙이는 것
프로토콜로 포장 할때 어떤 정보들이 잘 갈 수 있을까? 주소,특징 등등
뭔가를 보내기위해선, 보내는 사람의 주소 와 받는사람의 주소가 필요하다.
물리작주소 논리적주소
좌표는 안바뀐다. 물리적 주소 = 네트워크 카드 = nac address
우리집 주소는 바뀔수 있다. 논리적인 주소 = IP
왜? 우리도 지번주소에서 도로명 주소로 바뀌듯이
네트워크도 물리적 한계로 인해서 IP주소가 바뀔 수 있다.
앞으로 학습할 것
프로토콜의 종류와 이유
'운영체제 기본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정의 (0) | 2021.05.02 |
---|---|
다수가 공유하는 회선 (0) | 2021.04.02 |
네트워크란?(개요) (0) | 2021.04.02 |